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정보

덩굴 마름병 과 검은별무늬병 여러가지 병균알아보기

반응형

검은 별무늬병은  잎과 줄기에서 균사나 분생 포자 형태로 월동하면서 지내며 1차 전염의 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2차로 전염하는 방식은 병 반상에 형성된 분생 포자가 바람에 비산되어 전염된다고 합니다. 

검은 별무늬병의 온도가 17도에서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한 시설자재에서  병균이 발생하면 큰 피해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검은 별무늬병의 제방방법은 발생 초기에 바로 잎과 열매 등을 바로 제거해야 하며 가을 부 터 이른 봄에  발생을 하기 때문에 

이시기에는 잘 관리를 해줘야 한답니다.

약제를 조기에 살포해줘야 하는데요 잎과 어린 과실을 중짐으로 충분이 적실정도로 골고루 살포해줘야 한답니다.



균 핵 병 또한 하우스 재배에 자주 발생하는 병균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균 핵 병은 시설재배에 있어서 기온이 낮과 밤의 기온차이가 많이 날 때에 피해가 심하다고 합니다.

균 핵은 최고 10년이상 생존하기 때문에 질 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시 다발생으로 발병한다고 합니다.

지표에서 떨어져 균핵에서 자 낭 반을 형성하며 자 낭 반에서 다수의 자 낭이 형성되면서 자낭포자가 비사내서 전염시킨다고 합니다.

 

균 핵병의 방제방법은  병원균의 생장최적산도는 pH5.2정도이므로 재배전에는 석회를 충분히 사용하여 산도를 pH6.5를 교정하여 재배를 해야 한답니다.

또한  덩굴식물의 잎과 덩굴과 과일등을 절단해서 제거해야 한답니다.

그 다음에는 약재를 사용해야 하며 발병초기에도 바로 살포를 해야 한답니다.

또 한 수확을 한다음에도 잔매물들이 균사에 월동하기 때문에 수확을 하고 난다음에는 잔재물이나 남아 있기 때문에 잔재물을 깨끗하게 제거를 해야 한답니다.

 

탄저병 또한 병균자체는 종자나 식물의 병든 부위에서 균사와 분생포자형태로 월동하면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로 전염을 시킨다고 합니다.

탄저병은 비가 계속내리고 나면 급격하게 발생하는 병인데요 

물방울을 분생포자가  전반되어 발생하면서 비가 계속해서 내리면 발생하는 병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탄저 병은 고추 뿐만 아니라 오이와 채소작물과 박 과류 작물에게도 옴 길 수 있는 병균이라고 합니다.

 

탄저병은 예방은 먼저 병든 잔재물을 깨끗하게 철거를 해야 한답니다.

또한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해야하며 비수가 잘되도록 관리를 해야 한답니다.

그외 약제를 안전 기준을 지키며 살포도 해야 한답니다.


덩굴 마름병을 알아보아요 

덩굴마름병이 발생하는 환경과 특징은  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잔재에서 월동하면서 1차 전염원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병원균은 땅의 토양을 점염하면서 포자가 빗물이나 관수에 의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서 식물에게 

전염된다고 합니다.

덩굴마룸병은 발병이 계속되며 진행 부위가 끈적끈적한 물질이 분출되며 나중에는 검은 소립이 대량으로 

생긴다고 합니다.

발생의  원인은 줄기가 과번 무하거나 생육이 약해지면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덩굴 마름병은 방제 방법은 처음부터 건전종자를 선택해야 하며 건전 묘를 선택해서 심어야 한답니다.

만약에 덩굴마름병이 과일이나 잎에서 발견했을 때에는 다 제거해서 소각을 해야 한답니다.

 

또한 식물에 관수를 할때에는 줄기 밑동이 물에 닿지 않도록 유의해서 심어야 한답니다.

발병초기에도 약제를 사용해서 예방을 해줘야 한답니다.

 

덩굴 쪼김병이 생기는 환경은 작물을 연작으로 하는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실생묘가 웃자라거나 약해지면 병원균이 침두해서 병에 걸리기 쉽다고 합니다.

또한 육묘상태가 좋지 않거나 미숙한 퇴비를 섞어서 사용한 상토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육묘를 제배할때에 냉해 고운 으로 인해 관리가 잘 안될 때에  묘가 연하게 자라며 묘룰 포장에 정식할때에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덩굴쪼김병은 방제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작물을 연작으로 하지 않는 것이 제일 좋은 방제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또한 접목 재배에서는 대목이 충분이 노출되도록 해주는게 좋다고 합니다.

 

예방차원에서는 육묘 중에서 관리할때 물관리와 비료관리를 잘해야 하며 묘가 웃자라지 않게 해야 한답니다.

또한 태양열소독을 해서 염류의 농도를 제거하는 방법을 했을때에느느 병원균의 밀도가 감소된다고 합니다. 

 

근경 썩음병의 발생원인과 특징은  생육적 온도는 25도에서30되 에서 균사와 생장이 가장 왕성하다고 합니다.

오이 품종에서는 감수성을 나타내며 호박대목에 속하는 흑종호박과 신토좌는 감수성이 나나나며 

참박대목에 속하는 동장군과 불로장생은 저항성이 나나탄다고 합니다.

 

방제방법은 주로 유모 단계에서  발생하기때문에 발병했을때에 제거를 해줘야 한답니다.

또한 질소 비료의 과용을 피하는게 좋으며 통풍이 잘되도록 관리를  해줘야 한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