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면 좋은 정보

오이 병충해 & 도둑 나방 알아보기

Jk빡쓰 2022. 11. 2. 12:22
반응형

도둑 나방 알아보기

 

도독 나방은 잡식성 해충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도독 나방은 양배추 배추 샐러리등 채소식물과 장비 백합과 같은 작물에서도 자주 발생한답니다.
봄 가을에서 피해가 많이 생기며  겹으로 쌓이는 채소에 들어가 식물을 상하게 한다고 합니다.

 도둑 나방은 성충이되면 길이가 40m~47mm정도이며 몸 전체가 회갈색과 흑갈색으로 나눠지며 앞날개에는 흑백의 여러가지 무늬들이 있다고 합니다.

유충일 때에는 체소등의 잎을 갈아 먹으면서 자라고요 몸색은 녹색에서 점점 흑록색으로 된다고 합니다.

도독 나방이  다자란 유충이 되면 40mm정도로 모리색은 담록색과 황갈색이며 몸은 회흑색에 암갈색 반점이 많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도독 나방은 봄과 여름에  암갈색 이며 가을에는 회흑색의 개체가 많이 나타나며 번데기는 18mm~25mm정도의 적갈색이 뛴다고 합니다.



도독 나방의 생태는 연 2회정도 발생을 하며 겨울에는 번데기로 겨울을 난다고 합니다.도독 나방의 1회 성충은 4월에서 6월에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여름철인 고온에도 번데기로 자리잡으며 여름 잠을 잔다고 합니다.2회 성충에서는 8월에서 9월에 나타나는데요 

고랭지 저온지대에서는 한여름에 많이 발생한답니다.

성충이 된다음에는 해질무렵부터 활동을 시작하며 오전7시경에는 알을 낳으며 더운 낮에는 나무잎 사이에  숨어서 지내며 성충이 된 도둑나방은 3령까 무리지어서 다닌다고 합니다.

그 외 3령으로 자라면 서로 서로 무리 지어 다니면서 채소에 피해를 입힌다고 합니다.

4령이 된다음에는 따로 분산하여 생활을 하며 다자란 유충은 땅속에서 번데기가 된다고  합니다.그외 어린 유충은 잎 뒷면에서 잎을 갈아 먹으면서 잎전체를 상하게 하며  40에서 45정도 유츙 기간이 된다고 합니다.

유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살충제를 식물의  초기상테에 자주 예방하는 방법이 제일 좋다고 합니다.


오이를 작물 함에 있어서 많은 병충해와 해충, 곰팡이병과 세균병이 자주 발생한다고 합니다.먼저 노균병이 있는데요 

발생원인은 수생균의 일종으로 20도에서 24도 전후에 발생을 한다고 합니다.

분상 포자가 빗물이나 바람에 의해서 전파된다고 합니다 습도가 높을 때 잎의 뒷면의 기공을 통해서 침투 하다고 합니다.

병균의 침입은 표면에 수분이 겨울철에  시설재배에서 습도가 높으며  투 광량이 부족하면 발생률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이방법은 발생초기에 집중적으로 방제를 하여야 한다고 합니다.발생 초기에 방제를 하지 않으면 큰 피해를 초래하기 때문이랍니다.

발병 초기에는 온도 와 습도 관리가 중요하지만 전염원인을 확인해야 하며 밤낮의 온도 차이를 줄여서 잎줄기에 물방울이 맺지 않게 관리를 해주는데 중요하다고 합니다.

5월 하순부터는 온도 차이가 높아지면서 증상이 완화 된다고 합니다.

갈색무늬병은 원형 작은 반점과 각 형태로 노균 병광 유사 하며 후기 급속 잎 마름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갈색무늬의 발생환경과 특징은 무엇일까요 

잎과 함께 토양속에 또는 농자재에 부착하여 월동을 하며 전염의 원인이기도 한답니다.종자전염도 있는데요 분생포자는 바람에 비산되어 옮겨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2차 전염의 원인이기도 한답니다.

모든 병균이 그렇듯이 고온 다습과 하우스의 환경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이 방제방법 은 하우스 에서의 제배 할 경우에는 환기를 철저히 해야 깨끗한 종자를 사용해야 한답니다.

질소과다를 피해야 하며 초 세가 약해지면 발생하기 때문에 비 배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흰 가루병에 대해 알아 보기 
흰 가루 병은 발병원인은 일조가 부족하며 환기가 잘 안되며 온도차이가 심하면 발생률이 높다고 합니다.
병들어 있는 식물잔재에서 월동해 있으면서 1차 전염원인이 된다고 합니다.

 

밀폐되어 있는 공간에서 분상 포자가 공기 전염이 된다고 합니다.

 

흰 가루병에 방제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비료과용을 회피하여야 하며 일조부족에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하우스 제배를 해야 할 때에는 통풍과 차광 배수들이 잘 되기 위해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합니다.

잿빛 곰팡이병 또한  병운균에 의해 식물이 병이 드는데요 균 핵과 균사의 형태로 토양을 병들게 하며 식물체의 잔재물에서도 월동하면서 1차 감염을 진행한다고 합니다.

잿빛공팡이병은 봄과 가을에 자주 발생하는  병이라고 할 수 있어요.이병은 과 습한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는 병원균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토양 또 는 기주식물에서 부생적으로 번식을 한다고 합니다.잿빛 곰팡이의 방재법은  질 소질 비료를 과다 사용을 금해야 한답니다.

또 한 과습하지 않게 관리를 해줘야 하며 하우스 재배를 할때에는 환기를 철저하게 해줘야 한답니다. 짓빛곰팡이가 발생하면 다른 채소에 전염이 되지 않도록 바로 제거해줘야  다른 식물에 전염을 막을수 있다고 합니다.

그 외 약제저항성이 쉽게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른 작물웨 약제를 교차해서 잘 살포해야 한다고 합니다.

반응형